본문 바로가기
전자입찰 공부/E-교과서

E-교과서 Chapter8 - 적격심사의 이해

by 아이건설넷 2023. 6. 13.

 

 

안녕하세요~

보석 같은 입찰 지식을 찾아 이곳저곳을 모험하는

'입찰 모험가' 입니다 (╹◡╹)

오늘 E-교과서 Chapter8에서는

적격심사에 대해서 알아볼겁니다!

입찰에 참가하여 1순위가 되었다고 해서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죠.

적격심사를 통해 해당 업체가 실제 공사를

진행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여건이 되는지에 대해서 평가합니다.

자 그럼 적격심사에서는 어떤 항목들을 평가하는지

지금부터 입찰모험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D


01. 적격심사란?

적격심사는 정부 발주 공사에 대한 입찰에서 가장 낮은 가격으로 입찰한 업체부터 기술능력과 입찰가격을 종합 심사하여 일정 점수 이상을 얻으면 낙찰자로 결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적격 심사는 최저가격 입찰자의 순으로 계약 이행 능력을 심사하여 입찰가격이 적정하고 계약 이행 능력이 우량인 업체로 100점 만점 중에 규정된 종합 평점을 획득한 업체를 낙찰자로 결정함으로써 계약 이행 능력이 안되거나 부족한 업체가 덤핑 입찰에 의지여 낙찰되는 것을 예방하고 계약 이행의 성실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업체의 경영능력 및 품질 항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A, B, C, D 4개의 업체가 투찰을 하고 투찰금액에 따른 개찰 결과를 발표하면

낙찰유효범위에 속한 업체(A업체, B업체)와 유효범위 밖에 속한 업체(C업체, D업체)로 나뉘게 됩니다.

적격심사는 낙찰유효범위에 속한 A업체와 B업체에게만 자격이 주어지고, 낙찰유효범위 밖에 속한 업체인 C업체와 D업체는 낙찰하한가 미달과 예정가격 초과 사유로 인해 탈락하게 되어 적격심사 자격이 주어지지 않습니다.

낙찰유효범위에 속한 업체 중 낙찰하한가와 가장 근접한 업체(A업체)가 1순위가 되어 적격심사 평가에서도 가장 우선순위가 됩니다. 하지만 적격심사에서 일정 점수를 획득하지 못 하고 탈락하게 된다면 2순위의 업체(B업체)가 평가받게 되어 일정 점수 획득하게 되면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는 것이죠.


02. 적격심사 평가항목

■ 일반적인 평가항목

1) 시공능력평가액

- 시공능력평가액은 업체가 공사를 참여할 수 있는 규모를 나타내는 말

2) 시공경험평가

- 회사의 실적을 평가하는 것으로 3년 실적, 5년 실적, 10년 실적 등으로 평가

- 실적 입찰과 실적 이외 입찰로 구분 지어 평가합니다.

3) 경영상태평가

- 회사의 경영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유동비율, 부채비율, 영업기간을 평가합니다.

4) 입찰가격평가

- 입찰 결과 예정가격 대비 입찰가격의 백분율을 점수로 환산하여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 기타 평가항목

1) 하도급관리계획 적정성 평가, 자재 및 인력조달 적정성 평가, 지역업체 해당지역

영업활동기간

2) 기술능력, 시공평가결과, 신인도(가산점)

3) 신용평가등급, 자산회전율


이렇게 E-교과서 Chapter 8에서는 적격심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적격심사는 발주처별, 면허별, 금액별로 평가항목이 다릅니다.

금액이 높을수록 평가항목이 많아지고 발주처에 따라 평가항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항목을 확인하시어 원활한 투찰되길 바라겠습니다^^

다음 E-교과서 Chapter 9에서는

시공경험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만나는 그날까지 여러분 모두 풍요로운 낙찰을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보석 같은 입찰지식을 찾는 입찰모험가 였습니다'

댓글